벌써 무더운 여름이 지나고 날씨가 꽤나 쌀쌀해졌는데요, 환절기 감기 다들 조심하시길 바랍니다. 감기는 한번 걸리면 보통 기침과 콧물, 가래 등을 동반하는데요, 특히나 코감기의 경우 계속해서 콧물이 흘러서 휴지를 달고 살아야 하죠. 그냥 콧물만 많이 나오면 괜찮은데 코를 자주 풀다보면 인중 쪽에 피부가 까지는 경우도 있어서 굉장히 쓰라리게 되는 경우도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콧물은 계속 나와서 코를 풀 때마다 쓰라린 고통을 느껴야만 하기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코감기에 대해서 이것저것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코감기에 걸리는 이유부터 알아볼텐데요, 코감기는 주변 환경에서의 먼지가 코에 들어 들어와 자극이 되어 걸리거나 그 외에도 바이러스 감염, 체온 불균형 등으로 인해 발병하게 됩니다. 그렇기에 특히 황사나 꽃가루 등으로 미세먼지가 많은 봄철에 콧물이 흐르거나 코가 막히는 사람이 더 많죠. 또 여름에서 겨울로 가는 계절인 가을에도 급격하게 기온이 떨어지기 때문에 코감기가 유행하게 됩니다. 이는 코감기를 유발하는 바이러스가 낮은 온도에서 더 잘 증식하기 때문입니다.
코감기를 예방하는 가장 중요하면서도 기본적인 방법은 바로 개인위생을 철처히 관리하는 것인데요, 대표적으로 외출했다가 돌아왔을 때 손과 발을 비누로 꼼꼼하게 씻는것이죠. 이 이외에도 코는 실내 습도가 50~60%일 때 가장 편안한데요, 실내가 너무 습하면 미생물들이 번식하기 쉽고, 반대로 너무 건조할 경우에는 콧속 점막이 말라붙죠. 적정 습도를 유지하기 위해 공기 환기 또는 제습기나 가습이를 이용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또한 흡연의 경우 담배 연기가 콧속을 자극하기 때문에 코감기에 좋지 않고, 그 외에는 항상 몸을 따뜻하게 유지하는게 좋습니다. 이는 사람의 신체가 37도보다 낮은 온도에서는 면역 기능이 덜 활성화되기 때문입니다.
이미 코감기가 걸리셨다면 어쩔 수 없이 증상을 최대한 완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근본적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이 아닌 증상을 완화하는 것이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것은 병원에 가서 진단을 받고 약을 처방받아서 드시는게 제일 좋습니다. 우선 코를 억지로 풀거나 콧물을 삼키는 행동을 삼가해야되는데요, 콧물은 세균을 방어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분비물입니다. 코를 계속 풀게 되면 콧속의 압력이 높아져서 점막이 비대해지고, 그 비대해진 점막이 서로 맞닿아서 콧물이 더 많이 나오게 됩니다. 콧물을 삼키는 것은 세균이 목으로 옮겨가서 편도선염 등 또 다른 염증을 유발할 수 있죠. 또한 코감기때는 보통 따뜻한 차 종류를 드셔서 몸을 따듯하고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해주시는게 좋으며, 시원한 향의 박하 또는 민트류는 염증을 가라앉히는 효과가 있어서 좋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따뜻한 곳에서 충분한 휴식이니 약을 먹은 후 따뜻한 방 안에서 한숨 푹 자고 일어나면 언제 그랬냐는듯 괜찮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코감기는 보통 3~7일 사이에서 회복되는 경우가 보통인데요, 일주일이 지났는데도 증상이 낫지 않는다면 코감기가 아니라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축농증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이비인후과를 찾아가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을 권장드리며, 오늘은 코감기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봤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여기서 마무리하도록 하고 다음번에는 또 다른 글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
KTX 타는 법, 표검사? 개찰구? (0) | 2020.10.17 |
---|---|
가짜사나이 2기 미리보기 카카오TV (0) | 2020.10.07 |
2020년 센스있는 추석 인사말 문구 추천 (0) | 2020.09.29 |
QR형 따릉이 대여 오류 해결하는 방법 (0) | 2020.09.28 |
센스있는 집들이 선물 추천 베스트5 (0) | 2020.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