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팁라이프

반응형

이번 시간에 알아볼 것은 바로 주류 관련 내용입니다. 맥주를 좋아하는 사람들이라면 구매를 위해 편의점이나 마트에 방문했을 때 항상 필라이트, 필굿을 봤을겁니다. 다른 맥주인 카스, 하이트, 클라우드 등에 비해 굉장히 저렴한 가격대인 필라이트와 필굿, 그렇다면 이 두 맥주 종류는 왜 이렇게 가격이 저렴한 것일까요? 한번 그 실체를 파헤쳐보도록 하겠습니다. 

 


 

필라이트와 필굿은 발포주?

먼저 필라이트와 필굿의 가격이 다른 맥주들보다 저렴한 이유를 알기 위해서는 발포주라는 개념을 알아야 됩니다. 발포주는 일본에 있던 주류의 일종인데요, 먼저 국내에서 주류에 맥주라는 이름을 붙이기 위해서는 맥주의 재료인 맥아 함량이 10%를 넘어야 합니다. 이 맥아 함량 비율이 10% 이하라면 기타 주류로 분류가 되죠. 필라이트와 필굿은 둘 다 맥아 함량이 10%가 넘지 않고 그러한 이유로 엄밀히 말하면 맥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가격이 저렴한 원인, 기타주류

우리나라의 주세법상 맥주는 72%의 세금을 부과합니다. 반면 기타주류는 30%의 주세를 적용하는데요, 당연히 맥주 종류에 비해서 훨씬 저렴합니다. 위에서도 말했다시피 필라이트와 필굿은 맥아 함량이 10% 이하인 기타주류 카테고리에 속하게 되기 때문에 주세를 훨씬 저렴하게 적용할 수 있고 그로 인하여 가격이 굉장히 저렴한 것이죠. 

 


 

왜 발포주일까?

먼저 발포주라는 이름은 일본에서 먼저 지은 말입니다. 일본에서는 맥주에서 원재료 중 맥아 함량이 50%이어야 맥주로 표기할 수 있었고, 50% 미만은 발포주라고 칭했었습니다. 어떻게 보면 맥주처럼 보이나 맥주의 주 재료인 맥아함량이 미달되기 때문에 맥주라고 부를 수 없기에 이러한 주류를 부르기 위해 만들어진게 발포주죠. 필라이트와 필굿 역시 딱 보면 맥주처럼 보이고 다른 맥주들과 같이 판매되지만 주세법상 맥주로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부를 명칭이 필요했고 일본의 발포주를 그대로 사용하게 된 것입니다. 

 


 

필라이트, 필굿 가격

자, 그렇다면 저렴하다고 소문난 필라이트와 필굿의 가격은 어떻게 될까요? 편의점가를 기준으로 필굿은 500ml 캔이 1,400원이고 필라이트는 500ml 캔이 1,600원입니다. 코카콜라 500ml가 편의점가로 2,000원이니 콜라보다 더 저렴하다고 할 수 있겠죠? 필라이트 및 필굿의 경우 1.6L 페트도 3천원대 중반 정도의 가격을 이루고 있으니 다른 맥주들 피쳐(1.6L)의 경우 6천원을 넘어가는 것을 보면 마찬가지로 굉장히 저렴하다 할 수 있습니다. 마트로 가면 더욱 더 저렴해지니 이 점 참고해주시면 되겠습니다. 

 


 

마무리

이렇게 만들어져서 의외로 엄청난 가성비를 자랑하지만 호불호가 갈리는 필라이트와 필굿은 시장 평가로 치면 대박을 쳤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다만 맛에 있어서는 많은 사람들이 호불호를 표현하는데요,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이 가격에 이 정도 맛이면 충분하다는 쪽이고, 반면 혹평하는 사람들은 알콜 든 탄산 보리차라며 심한 경우 코끼리 오줌 맛이라고 표현하기도 하죠.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저는 그냥 간단하게 한 두캔 마시기에는 가성비로나 맛으로나 괜찮다 생각합니다. 그러면 이번 포스팅은 여기서 마무리하도록 하고 다음번에는 또 다른 글로 다시 찾아오도록 하겠습니다. :)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